본문 바로가기

advice for students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바뀌는 중등·고등 수학, 핵심정리.

반응형

2025년부터 적용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이 어떻게 바뀌는지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단원 구성, 수능 범위, 수업 방식까지 달라진 포인트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바뀌는 중등·고등 수학, 핵심정리.

 

당신이 꼭 기억할 결론

  • 고등 수학은 수능 과목 구조 자체가 바뀌며 '선택 과목' 개념이 사라짐
  • 고1 과목은 수학(상)이 공통수학1으로 바뀌며, 이차부등식까지는 내용이 동일하나 뒤에 경우의 수가 붙고, 그 뒤에 행렬 단원이 추가됨. 각 단원별로 디테일하게 바뀌는 점은 없음.
  • 고1 과목은 수학(하)가 공통수학2로 바뀌며, 처음에 좌표평면부터 도형의 이동까지 배우고 그 뒤로 집합, 명제, 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로 구성됨. 좌표평면 단원에서 외분점 개념이 제외됨. 나머지는 동일
  • 중1 과목은 다른 부분은 동일하며 마지막 부분에 대푯값 개념이 추가됨.
  • 중2 과목은 대부분 동일하며, 도형 단원에서 증명 용어가 부활함
  • 중3 과목은 대부분 동일하며, 이차함수 단원에서 실수 전체에서만 고려하는 최대·최소가 추가되고,  마지막 통계 단원에서 '상자그림'이 추가됨.

 

≣ Contents

     

    2022개정 고등수학, 수능 내신 모두 바뀐다.

    2022개정 고등수학, 수능 구조 변화. 선택과목 폐지

    • 기존: 수학Ⅰ·Ⅱ 공통 +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중 선택
    • 개정: 대수, 미적분Ⅰ, 확률과 통계 전원 공통 필수 / 선택 과목 없음
    • 미적분Ⅱ, 기하는 '심화 수학'으로 남아, 대학별 요구 과목으로 활용될 수 있음

     

    2022개정 고등수학, 내신 과목 구조 변경

    • 기존: 수학상·하 → 개정: 공통수학1·2
    • 수학상에 있던 '도형의 방정식' → 공통수학2로 이동 (고1 2학기, 난도↑)
    • 수학하에 있던 '경우의 수' → 공통수학1로 이동 (고1 1학기)
    • '행렬', '공간 벡터' 등 과거에 빠졌던 고난도 개념이 재도입됨
    • 확률과 통계 내 '원순열' 삭제, '모비율·표본비율' 재등장
     

    2022개정 중등수학, 개념보다는 방식이 바뀐다.

    2022개정 중등수학, 교과 구조와 역량 중심 교육 강화

    • 영역 구조 변경:
      • 문자와 식 + 함수 → 변화와 관계 (통합)
      • 기하 → 도형과 측정, 확률과 통계 → 자료와 가능성으로 명칭 변경
    • 수학교과 역량: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정보처리, 연결 강조
    • 핵심 아이디어 중심 수업: 개별 단원보다 '통합적 사고'에 중점

     

    교수 학습과 평가 방식의 변화

    • 교수학습: 디지털 도구 및 공학 활용 강조, 온라인 수업 환경 적극 반영
    • 평가 방식: 과정 중심 평가, 학습자 참여형 평가 확대
    • 중·고 연계 고려한 성취기준 재배치 및 해설 강화

     

    2022개정 중등수학, 주요 단원과 성취 기준의 구체적 변화

    수와 연산

    •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 초등 수준 방식(성질 활용) → 중등은 소인수분해 중심으로 변경
    • 제곱근의 대소, 무리수의 유용성 등 설명 중심 문구 추가

    변화와 관계 (기존 문자와 식, 함수)

    • 성취기준 통합 + '문자의 유용성', '함수값 구하기' 등 실생활 적용 강조
    • '2차함수 최대/최소' 도입: 단, x의 범위가 실수 전체인 경우로 한정

    도형과 측정 (기존 기하)

    • 닮음, 증명 단원 강화: 이등변 사각형의 성질에서 증명 도입 시작
    • '증명'의 정의 강조, 정당화 중심 사고 유도
    • 공학 도구 활용, 실생활과의 연결성 강화

    자료와 가능성 (기존 확률과 통계)

    • '대표값' 개념: 중1로 이동, 평균은 삭제 → 적절한 대표값 선택으로 재구성
    • 중3: 상자그림 도입 (1사분위수~3사분위수, 특이값 시각화)
    • '통계 소프트웨어 활용' 성취기준에 명시, 정보 처리 역량 강화

    2022개정 중등수학, 주요 단원과 성취 기준의 구체적 변화

     

    마치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단순히 배우는 내용만이 아니라 '어떻게 배우는가', **'무엇을 중심으로 사고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철학이 바뀐 과정입니다. 고등은 수능 구조 변화와 고난도 개념의 복귀, 중등은 연계 강화와 디지털 시대에 맞는 수업방식 전환이 핵심입니다.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이 변화를 미리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로그에서는 앞으로 각 단원별 변화도 상세히 풀어드릴 예정이니 구독해 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