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부터 적용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와 고등학교 수학이 어떻게 바뀌는지 핵심만 정리했습니다. 단원 구성, 수능 범위, 수업 방식까지 달라진 포인트를 빠르게 확인하세요.
당신이 꼭 기억할 결론
- 고등 수학은 수능 과목 구조 자체가 바뀌며 '선택 과목' 개념이 사라짐
- 고1 과목은 수학(상)이 공통수학1으로 바뀌며, 이차부등식까지는 내용이 동일하나 뒤에 경우의 수가 붙고, 그 뒤에 행렬 단원이 추가됨. 각 단원별로 디테일하게 바뀌는 점은 없음.
- 고1 과목은 수학(하)가 공통수학2로 바뀌며, 처음에 좌표평면부터 도형의 이동까지 배우고 그 뒤로 집합, 명제, 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로 구성됨. 좌표평면 단원에서 외분점 개념이 제외됨. 나머지는 동일
- 중1 과목은 다른 부분은 동일하며 마지막 부분에 대푯값 개념이 추가됨.
- 중2 과목은 대부분 동일하며, 도형 단원에서 증명 용어가 부활함
- 중3 과목은 대부분 동일하며, 이차함수 단원에서 실수 전체에서만 고려하는 최대·최소가 추가되고, 마지막 통계 단원에서 '상자그림'이 추가됨.
≣ Contents
2022개정 고등수학, 수능 내신 모두 바뀐다.
2022개정 고등수학, 수능 구조 변화. 선택과목 폐지
- 기존: 수학Ⅰ·Ⅱ 공통 + 확률과 통계/미적분/기하 중 선택
- 개정: 대수, 미적분Ⅰ, 확률과 통계 전원 공통 필수 / 선택 과목 없음
- 미적분Ⅱ, 기하는 '심화 수학'으로 남아, 대학별 요구 과목으로 활용될 수 있음
2022개정 고등수학, 내신 과목 구조 변경
- 기존: 수학상·하 → 개정: 공통수학1·2
- 수학상에 있던 '도형의 방정식' → 공통수학2로 이동 (고1 2학기, 난도↑)
- 수학하에 있던 '경우의 수' → 공통수학1로 이동 (고1 1학기)
- '행렬', '공간 벡터' 등 과거에 빠졌던 고난도 개념이 재도입됨
- 확률과 통계 내 '원순열' 삭제, '모비율·표본비율' 재등장
2022개정 중등수학, 개념보다는 방식이 바뀐다.
2022개정 중등수학, 교과 구조와 역량 중심 교육 강화
- 영역 구조 변경:
- 문자와 식 + 함수 → 변화와 관계 (통합)
- 기하 → 도형과 측정, 확률과 통계 → 자료와 가능성으로 명칭 변경
- 수학교과 역량: 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정보처리, 연결 강조
- 핵심 아이디어 중심 수업: 개별 단원보다 '통합적 사고'에 중점
교수 학습과 평가 방식의 변화
- 교수학습: 디지털 도구 및 공학 활용 강조, 온라인 수업 환경 적극 반영
- 평가 방식: 과정 중심 평가, 학습자 참여형 평가 확대
- 중·고 연계 고려한 성취기준 재배치 및 해설 강화
2022개정 중등수학, 주요 단원과 성취 기준의 구체적 변화
수와 연산
- 최대공약수·최소공배수: 초등 수준 방식(성질 활용) → 중등은 소인수분해 중심으로 변경
- 제곱근의 대소, 무리수의 유용성 등 설명 중심 문구 추가
변화와 관계 (기존 문자와 식, 함수)
- 성취기준 통합 + '문자의 유용성', '함수값 구하기' 등 실생활 적용 강조
- '2차함수 최대/최소' 도입: 단, x의 범위가 실수 전체인 경우로 한정
도형과 측정 (기존 기하)
- 닮음, 증명 단원 강화: 이등변 사각형의 성질에서 증명 도입 시작
- '증명'의 정의 강조, 정당화 중심 사고 유도
- 공학 도구 활용, 실생활과의 연결성 강화
자료와 가능성 (기존 확률과 통계)
- '대표값' 개념: 중1로 이동, 평균은 삭제 → 적절한 대표값 선택으로 재구성
- 중3: 상자그림 도입 (1사분위수~3사분위수, 특이값 시각화)
- '통계 소프트웨어 활용' 성취기준에 명시, 정보 처리 역량 강화
마치며..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단순히 배우는 내용만이 아니라 '어떻게 배우는가', **'무엇을 중심으로 사고하게 할 것인가'**에 대한 철학이 바뀐 과정입니다. 고등은 수능 구조 변화와 고난도 개념의 복귀, 중등은 연계 강화와 디지털 시대에 맞는 수업방식 전환이 핵심입니다.
학생, 학부모, 교사 모두 이 변화를 미리 이해하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블로그에서는 앞으로 각 단원별 변화도 상세히 풀어드릴 예정이니 구독해 주세요!
반응형
'advice for student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시파이터를 생각하는 고1,2학생에게.. (1) | 2025.07.09 |
---|---|
선생님이 있는 삶의 시기를 이용해라. (0) | 2025.05.23 |
2025년 중간고사 끝! 이제 기말로 가는 첫 단추를 꿰자 (1) | 2025.04.30 |
시험 보는 법을 모르는 학생들, 이 전략만 알아도 10점은 오릅니다. (0) | 2025.04.24 |
고1 첫 중간고사를 망쳤다면? 복구가 힘든 진짜 이유 (0) | 2025.04.22 |